우아하게 짜집겨진 생태계

조회 수 394 추천 수 37 2011.03.03 06:06:32

만약 모든 것들이 생각없는 우연의 결과라고 한다면 도저히 존재하지 못할 많은 놀라운 디자인들이 우리 주위에 널려져 있다. 많은 새들은 여름동안에 벌레들을 잡아 먹는다. 이러한 고단백질의 음식은 짝짓기나 새끼치는 계절에는 좋지만 추운 겨울을 살아남기위해 준비하는데는 그리 도움이 되지 못한다.

새들은 칼로리의 저장과 체온보존을 위한 보호막을  위해 체지방층을 만들어야 한다. 겨울이 다가오면 여러 나무들에서 자라고 익어가는 여러가지 베리들이 더 많아진다. 당도가 높은 베리 쥬스는 새들이 신속하게 체지방을 축적하도록 도와준다. 추운 가을 아침에 얼은 베리들은 더 높은 당도를 지닌다. 더욱더 놀라운 것은 새들이 먹는 여러가지 형태의 베리들이 서로 엇갈리는 방식으로 무르익어 베리 철이 길고 물량공급이 계속된다는 사실이다. 예를들어, 엘더베리의 공급이 거의 끝나가면 하이부쉬 그렌베리가 생산된다. 종종 여름에 태어난 새끼들의 깃털들이 베리에 있는 여러가지 색소들을 먹을때까지   완전한 색깔을 보이지 못하다가 새끼들이 이러한 색소들을 먹을때 비로소 깃털들이 제색깔을 보인다. 댓가로 새들은 베리의 씨들을 널리 퍼지게 한다.
  
이러한 복잡하고 서로 상관된 모든 시스템은 우아하고 잘 조정된 디자인속에서 상호 의존해 있다.

Notes:
http://www.startribune.com/templates/Print_this_story?sid=64091192, 10/14/09, Val Cunningham, "Why bushes are better for birds."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780 진짜 잡식성 master 2021-02-07 402
779 교묘한 곰팡이 김 계환 2011-03-17 401
778 박테리아가 생각할 수 있는가? 김 계환 2011-10-03 400
777 동물들은 첨단기술이 필요없다 김 계환 2011-11-01 396
» 우아하게 짜집겨진 생태계 김 계환 2011-03-03 394
775 중국의 자이언트도롱뇽 master 2020-05-22 393
774 아삭 아삭한 약 김 계환 2013-03-07 389
773 독 개구리들이 자신들을 독살할 수 있을까? master 2018-04-08 387
772 새들은 양말이 필요없는 이유 [1] 김 계환 2011-11-12 384
771 먼지의 세계 김 계환 2011-09-01 380
770 똑똑한 상어 김 계환 2014-10-21 379
769 신앙: 그리스도냐 인간이냐? 김 계환 2011-09-17 373
768 똑똑한 박테리아 김 계환 2013-02-09 371
767 천재의 문제 [1] 김 계환 2013-02-24 370
766 벌새의 이중생활 김 계환 2014-03-31 369
765 궁수 물고기 [1] 김 계환 2011-09-19 369
764 당신 자신을 정말로 병들게 만들기 [2] 김 계환 2014-03-26 367
763 먼저된 자가 나중되네 김 계환 2013-02-18 367
762 무장되고 위험한 곰팡이 김 계환 2013-04-14 366
761 시력에 관한 또 하나의 기적 김 계환 2013-04-18 36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