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닥거리는 식물들

조회 수 428 추천 수 35 2011.03.04 22:24:02

금성 파리통(venus flytrap)은 파리를 감지하면 일초내에 자신의 덫을 닫는다. 파리는 그날의 먹이가 된다. 식물 행동학은 새로운 분야의 과학이다. 식물 행동학자들은 동물과 상호작용을 하는 금성 파리통과 같은 식물들은 동물의 스케일로 움직여야 한다고 말한다(금성 파리통은 파리가 날라가는 속도로 움직여야 한다). 우리는 전통적으로 식물들은 그저 한자리에 머무는 활동이 전혀없는 생물로서 여겨왔다. 그러나 우리가 식물들에 관하여 더 많이 알아갈수록 식물들이 우리가 생각했던 것보다도 훨씬더 활동적이라는 사실을 발견하게 된다.

다른 식물들도 동물들과 상호작용시 역시 움직인다. 그러나 때때로는 그렇지도 않다. 하얀 멀베리 나무(white mulberry tree)가 꽃을 펼때 소리 속도의 반으로 꽃을 편다. 이보다 더한 것들을 식물 행동양식에서 발견할 수 있다. 과학자들은 식물들도 기억력을 지니고 있음을 배웠다. 신경조직이나 뇌가 없지만 나무잎이 과거에 어떤 침입자의 공격을 어떻게 방어하게되면 그 동일한 위험이 다음 번에 올때는 더욱 신속하게 대처한다. 앞서 식물들이 향을 발함으로써 어떻게 서로 의사소통하는 지에 관하여 말한 적이 있다. 나뭇잎이 공격을 받으면 그 나무는 향을 발하여 주위의 잎과 나무들에게 경고를 보낸다. 이제 과학자들은 이를 “식물 속닥거림(plant gossiping)”이라고 부른다.  

우리가 창조주께서 심지어 나무에게도 얼마만큼의 능력을 부여하셨는지를 알게되면 우리는 하나님께서 감사하게도 인간들에게는 더욱 더 관대하셨음을 깨닫게된다.

Notes:
Science News, 6/20/09, pp. 16-19, Susan Milius, "No brainer behavior."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820 재조명된 팬다곰의 엄지 [4] 운영자 2012-08-18 434
819 하나님의 마음은 우리의 마음보다 크시다 김 계환 2011-07-01 434
818 의약품으로 가득한 들과 숲 김 계환 2011-04-03 434
817 다윈과 그의 추종자들이 잘못된 결론을 내린다 김 계환 2011-02-16 434
816 나무들이 자동차들보다 공기를 더 오염시키는지도 모른다 김 계환 2011-01-04 433
815 스스로 교정하는 유전학 [1] 김 계환 2013-02-25 432
814 “이브”? 김 계환 2011-08-25 432
813 바닷가제가 우리의 생각에 영항을 줄 수가 있다 [1] 김 계환 2011-01-24 432
812 인간은 물질이상의 것이다 김 계환 2012-02-01 431
811 화석이 얼마나 오래됐을까? 김 계환 2013-03-25 429
810 새알 진화 김 계환 2015-01-21 428
809 난초의 기이한 행동들 [1] 김 계환 2011-10-03 428
808 산호초가 생각했던 것보다 더 빨리 자란다 김 계환 2011-05-29 428
» 속닥거리는 식물들 김 계환 2011-03-04 428
806 눈 깜짝할 사이에 김 계환 2011-01-28 427
805 식물들이 더 많은 온실개스를 만들어 낸다 김 계환 2012-03-11 426
804 기적같은 냄새맡기 김 계환 2011-03-13 426
803 항생제의 원조 [1] 김 계환 2012-01-08 423
802 하나님의 순간 접착제 김 계환 2014-03-22 422
801 자연이 최고의 화학자이다 [1] 김 계환 2013-12-15 422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