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적같은 냄새맡기

조회 수 426 추천 수 46 2011.03.13 03:40:41

많은 동물들이 아주 약한 냄새까지도 탐지할 수 있음은 잘 알려져 있다. 정말 신비한 것은 냄새 신호를 촉발할 수 있기에 필요한 화학적인 반응을 만들어 내기에는 1천배 정도로 너무 약한 향을 어떻게 동물들이 알아채는가 하는 것이다.

화학자의 관점에서 보면 우리의 냄새감지기능은 지금처럼 잘 작동할 수가 없다. 몇일전 당신이 그 놀라운 저녁음식냄새를 맡았을때 경이로운 화학적 반응이 당신의 코안에서 진행되었었다. 과학자들은 우리가 어떻게 이렇게 다양한 범위의 냄새를 감지할 수 있는지에 관하여서 아직도 확신이 없었다. 이 질문을 조사하다가 과학자들은 다른 질문에 대한 답변을 우연히 찾게 되었다.

우리 코안의 수용체들은 일정한 숫자의 향 분자들을 탐지해야만 우리가 무언가 냄새를 맡았다는 신호를 발생해내는 화학적 반응을 촉발시킨다. 공기가 코안으로 흡입되어질때 스테노스 관(Steno's duct)이라 불리는 기관이 미세한 입자들을 분사한다. 과학자들은 언제나 이 분사는 단순히 들어오는 공기를 촉촉하게 하려는 것이라고 생각해 왔다. 그런데 이제 과학자들은 이 관이 향 분자들에 달라붙는 단백질을 또한 만든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되었다. 흡인되는 공기에 분사되면 이 단백질은 향 분자들을 수집한다음 냄새의 감지를 촉발시키는 수용체위로 가라앉는다. 결과로 너무 약해서 감지될 수 없는 농도의 향도 이 기막히는 시스템에 의해서 농축되고 그리하여 우리는 이것들을 감지할 수가 있다.

  우리의 냄새기능은 우리를 보호하며, 우리의 음식에 향을 부여하며 또한 우리 삶의 경험을 풍성하게 만든다. 이는 우리 창조주의 놀라운 디자인인 것이다.  

Notes:
Vaughan, Christopher. 1990. "Molecular odor eaters." Science News, v. 133. p. 348.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820 재조명된 팬다곰의 엄지 [4] 운영자 2012-08-18 434
819 하나님의 마음은 우리의 마음보다 크시다 김 계환 2011-07-01 434
818 의약품으로 가득한 들과 숲 김 계환 2011-04-03 434
817 다윈과 그의 추종자들이 잘못된 결론을 내린다 김 계환 2011-02-16 434
816 나무들이 자동차들보다 공기를 더 오염시키는지도 모른다 김 계환 2011-01-04 433
815 스스로 교정하는 유전학 [1] 김 계환 2013-02-25 432
814 “이브”? 김 계환 2011-08-25 432
813 바닷가제가 우리의 생각에 영항을 줄 수가 있다 [1] 김 계환 2011-01-24 432
812 인간은 물질이상의 것이다 김 계환 2012-02-01 431
811 화석이 얼마나 오래됐을까? 김 계환 2013-03-25 429
810 새알 진화 김 계환 2015-01-21 428
809 난초의 기이한 행동들 [1] 김 계환 2011-10-03 428
808 산호초가 생각했던 것보다 더 빨리 자란다 김 계환 2011-05-29 428
807 속닥거리는 식물들 김 계환 2011-03-04 428
806 눈 깜짝할 사이에 김 계환 2011-01-28 427
805 식물들이 더 많은 온실개스를 만들어 낸다 김 계환 2012-03-11 426
» 기적같은 냄새맡기 김 계환 2011-03-13 426
803 항생제의 원조 [1] 김 계환 2012-01-08 423
802 하나님의 순간 접착제 김 계환 2014-03-22 422
801 자연이 최고의 화학자이다 [1] 김 계환 2013-12-15 422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