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테리아가 생각할 수 있는가?

조회 수 400 추천 수 45 2011.10.03 00:16:36

박테리아가 생각할 수 있을까하는 질문은 멍청한 질문처럼 들린다. 그러나, 이 조그마한 녀석이 정말로 생각할 수 있다는 사실을 100여년 전에 과학이 보여주었다.  1883년에 Wilhelm Pfeffer가 실행한 실험은 박테리아가 닭 국물같은 좋은 음식으로 헤엄쳐가지만 마대 살균제 같은 독물질로 부터는 도망간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Pfeffer는 또한 박테리아가 의사결정 능력이 있음을 배웠다. 그는 박테리아로 하여금 어디에 닭국물이 있는지를 알게하고서는 박테리아와 이 먹이 사이에 약한 농도의 살균제를 놓아 이들을 분리시켰다. 그는 이 조그마한 녀석들이 최선을 다해서 이 살균제를 헤엄쳐 통과하여 이 국물에 도달함을 관할하였다.

이것은 우리가 매일 거치는 것과 동일한 형태의  의사결정이다. 우리는 종종 불쾌한 것을 감내하여 유쾌한 것에 도달한다. 이 연구의 결과로 오늘날 과학자들은 실제로 박테리아들의 의사결정에 관하여 이야기하고 있다.    

이러한 결론은 대부분의 사람들을 놀라게 만든다. 왜냐하면, 우리는 진화론적인 관점에서 지능을 생각하도록 훈련받아왔기 때문이다. 한 생물이 더 높이 진화할 수록 그것이 더 지능적이라고 들어왔다. 그러나 성경이 말씀하듯이 모든 생명이 지적인 창조주의 창조물이라고 인식한다면 우리는 지능이 진화와 전혀 무관하다는 사실에 그리 놀랄 필요가 없다. 모든 생물들은 전 생명을 사랑하시는 창조주에 의해서 자신들이 필요한 정도의 지적능력이 주어졌다는 것이다- 박테리아에게도!


Notes: 
Pietsch, Paul. 1983. "The mind of a microbe." Science Digest, Oct. p. 69.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781 12 피트 지렁이가 발견되다! [1] 김 계환 2014-01-28 326
780 인류에 관한 또 다른 진화론적 신화 김 계환 2014-01-30 296
779 딱따구리의 놀라운 혀 김 계환 2014-02-03 3103
778 털복숭이 와스프 김 계환 2014-02-06 265
777 자신을 벌새라고 생각하는 나방 [1] 김 계환 2014-02-06 319
776 연장을 사용하는 새 [1] 김 계환 2014-02-14 307
775 지적인 인내 [1] 김 계환 2014-02-19 285
774 빛으로 유혹하기 김 계환 2014-02-20 354
773 지상에서 가장 큰 생물 김 계환 2014-02-25 293
772 새를 돕는 새 김 계환 2014-02-26 295
771 언제나 비행중인 새 김 계환 2014-02-27 310
770 식물의 자기방어 김 계환 2014-03-04 447
769 허점 투성이인 인간 김 계환 2014-03-04 314
768 당신이 물고기였어요? 김 계환 2014-03-06 305
767 매혹적인 플래절럼(FLAGELLUM) 김 계환 2014-03-10 314
766 회의론자들도 인정하는 것: 과학이 영혼을 부정할 수 없다. 김 계환 2014-03-13 316
765 놀라운 몽구스 김 계환 2014-03-18 3941
764 최고의 예술가 김 계환 2014-03-19 248
763 하나님의 순간 접착제 김 계환 2014-03-22 422
762 얼마나 많은 별들이 있나? [1] 김 계환 2014-03-23 332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