놀라운 겨울 나방

조회 수 167 추천 수 2 2015.02.24 18:49:45

북 아메리카, 유럽 아시아에 가을이 다가오면 많은 새들은 더 따뜻한 곳으로 이동하며 곤충들은 겨울 잠을 준비한다. 자연이 겨울동안 문을 닫아버리는 것처럼 보일지 몰라도 놀라운 생명활동은 진행된다. 약 50여종의 나방들이 여름 동안 잠을 자다가 깨어나기 시작한다. 겨울이 이 나방들이 활동적이 시기인데 이들은 다른 일부 생물들이 가지고 있는 생물학적 부동액을 가지고 있지 않다. 그러한 화학물질에 의한 신진대사적 비용이 이들의 생활 양식에 걸림돌이 되기 때문이다.

겨울 나방은 화씨 32도 이하에서 얼어붙기는 하지만 겨울을 살아남는데 이것들이 결코 37도 이하로 떨어지지 않는  숲 바닥에서 살기때문이다. 그러나 공기 온도가 빙점 이상으로 올라가면 이 나방들은 숲 바닥에서 나와서 수분동안 몸을 떨어 체온을 올린다음 먹이를 찾아 나선다. 단풍나무 수액이 이들이 가장 좋아하는 먹이중 하나이다. 이 고 에너지 음식을 한 배 가득 먹으면 이 나방이 온 겨울을 잠을 자기에 충분한 양의 에너지를 얻게된다. 이것들이 활동적일때 단지 30분이라는 단시간내에 자신들을 온 겨울동안 지탱시킬 수 있는 그 동일한 양의 에너지로 자신들의 신진대사를 8천배로 증가시킬 수가 있다. 여름동안에 나방들은 흉부로 부터 열을 발산시키며 겨울에는 완전히 다른 열 교환 시스템을 이용하여 체온을 보존한다.


겨울 나방은 하나님께서 하실 수 있는 일에는 제한이 없음을 보여준다. 어떻게 하나님께서 전 우주를 6일만에 창조하셨을까 하고 의구심이 생기면 이 겨울 나방을 곰곰히 생각해보라.

Notes:
"Some Like it Cold," Natural History, 2/94, pp.42 48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861 선악을 바로 아는 것 김 계환 2012-02-20 464
860 우리의 시력이 하나님의 손길을 증명한다. master 2018-07-04 463
859 한 잘못된 년도측정 김 계환 2012-11-19 463
858 아담이 그렇게 오래 살았을까? 김 계환 2012-01-27 463
857 하나의 감동적인(touching) 사실 [1] 김 계환 2011-06-22 462
856 시간을 잴 줄 아는 독사 김 계환 2011-02-20 460
855 와스프 벌들이 생물학적으로 불가능한 것을 행한다. 김 계환 2010-12-01 460
854 이 새우는 한방을 지녔다 김 계환 2012-03-12 458
853 박테리아의 마음 [3] 김 계환 2011-10-23 458
852 외눈박이 귀 김 계환 2011-03-14 456
851 생명의 기원에 대한 또 다른 이론 master 2020-08-28 455
850 새로운 빨리 날기 챔피언이 발견되다 김계환 2016-05-19 455
849 당신 뇌안의 채소구역 [1] 김 계환 2012-11-09 453
848 붉은 시리우스의 신비 김 계환 2011-08-29 452
847 화석들이 창조를 보여준다 김 계환 2012-03-17 451
846 은에 새겨진 진실 김 계환 2011-11-27 450
845 수백만년된DNA라고? 김 계환 2011-02-08 450
844 당신의 좋은 건강을 유지하기위해 분주한 박테리아 김 계환 2010-12-23 450
843 내장된 오류교정 김 계환 2011-11-23 448
842 이것이 난초인가 곤충인가? [1] 김 계환 2011-10-17 44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