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미와 파리

조회 수 498 추천 수 40 2011.08.08 21:02:24

어느 누구도 거미와 다른 곤충이 삶의 공간을 공유한다는 것을 상상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런데, 놀랍게도 중앙 아메리카의 열대림에서 조그마한 파리와 거미가 방과 음식을 공유한다는 사실을 과학자들이 발견했다!

파리는 거의 대부분의 시간을 황금망 거미의 등에서 보내는데 거미는 이를 개의치 않아 보인다. 이 거미는 대부분의 거미와는 달리 자신의 먹이를 처리한다. 자신의 튼튼한 거미줄에 큰 곤충이 걸려들면 이 황금망 거미는 소화액을 그 먹이에 주입시켜 놓고 기다려 먹기좋게 되기를 기다린다. 파리는 거미의 등으로 부터 이 먹이의 준비정도를 계속하여 주시한다. 거미가 좋아할 정도로 먹이가 액화되어지기 바로 직전에 이 파리는 이 먹이로 날아가 수초동안 이 먹이로 부터 액화된 먹이을 마신다. 이때쯤 거미는 그 점심으로 다가가고 파리는 거미의 등으로 가서 다시 낮잠을 즐긴다.
  
거미와 파리 둘다는 이 가장 불가능해 보이는 일의 분담을 가능하게 만드는 특별한 특성들로 디자인되어 있다. 만약 이 황금망 거미의 먹는 습성이 다른 대부분의 거미들과 같다면 파리를 위한 액화된 음식이 전혀 없었을 것이다. 파리도 특별하게 디자인된 입을 가지고 있어서 수초동안에 완전한 한끼 식사를 마시는 것이 가능하다. 이럼으로 파리는 거미에게 전혀 방해가 되지 않는다.

어떻게 거미와 파리가 함께 살아갈 수가 있었을까? 하나님은 어떠한 문제에도 해결책을 가지고 계시다. 왜 거미와 파리와의 공생의 관계를 디자인 하셨을까? 그분은 우리로 하여금 당신 자신이 존재하시며 당신은 어떠한 문제도 해결하실 수 있으시다는 것을 알기 원하셨기 때문이다! 그분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하나님께 당신이 가지고 갈 수 없는 것을 아무것도 없다.

Notes:
"Random chance or intelligent design?" Associates for Biblical Research Newsletter, Jan.-Feb. 1991. p. 2

사라의 웃음

2011.08.11 11:49:09
*.161.89.37

늘 묵묵히 그러나 힘 있게 말씀하시는 집사님의 글들이 참 많은 생각을 하게 하고
또 많은 깨달음을 주고 계십니다.
감사함을 자주 표현하지 못하고 스쳐감이 늘 죄송스럽습니다. ^^

















김 계환

2011.08.15 03:23:11
*.132.10.2

자매님 감사합니다 어려우신 가운데도 저까지 격려해주시니 참 제가 힘이 납니다 늘 평안하세요 할렐루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921 당신의 건강을 위한 견과류 김 계환 2010-11-13 522
920 화석 재고조사: 일부에겐 놀랄 뉴스 김 계환 2010-08-23 521
919 나노 미생물이 과학자들을 놀라게 한다 김 계환 2010-10-21 520
918 당신의 휴대용 구급상자 [1] 김 계환 2012-08-14 519
917 창세기에서 시간의 간격이 발견되는가? 김 계환 2011-04-28 519
916 걷는 물고기 master 2020-05-30 517
915 미 육군이 75000번째의 생일을 축하한다니! [2] 김 계환 2012-05-21 517
914 뇌 세포가 새로 자란다 김 계환 2012-06-05 516
913 나무를 먹이는 박쥐들 김 계환 2012-07-01 515
912 진화론자들이 등 문제를 가지고 있다. 김 계환 2010-11-05 515
911 돌로의 법칙을 무너뜨리네 김 계환 2012-06-21 513
910 래쿤 곰이라고? 김 계환 2010-10-07 508
909 비논리적인 지혜 [1] 김 계환 2011-05-26 507
908 로스 루나스 바위 김 계환 2010-11-17 500
907 똑똑한 해파리 김 계환 2011-08-15 498
» 거미와 파리 [2] 김 계환 2011-08-08 498
905 하나님으로 부터 온 기술의 비밀 [6] 김 계환 2011-11-25 497
904 기발한 탈출 김 계환 2012-08-07 495
903 원시 수프를 위한 새로운 조리법 김 계환 2013-10-02 492
902 음악적 기억력 김 계환 2011-05-03 492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