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 별빛 딜레마 풀기

조회 수 171 추천 수 0 2015.12.06 09:06:47
 

성경을 믿지않는 과학자들은 먼 별과 갤럭시들에서 오는 빛을 볼 수 있는 인간의 능력이 젊은 지구 창조론이라는 배를 침몰시킬 수 있는 필살의 토피도에 비견될 수 있다고 믿는다. 그러나 그들은 먼 별들로 부터 오는 빛들이 매우 빠르게 지구에 도착할 수 있는지에 대한 해결책들로 여러가지 가능한 해답이 있다는 점을 고려하지 않고있다.

 

크리에이션 모먼트 위원중의 한 분인 Donald Clark 박사(그는 물리 생화학에 박사학위를 가지고 있다)가 그런 잠재적 해결책 한가지를 제시한다. 그는 이사야 42:5절과 이사야 45:12절을 증거로 제시하며 하늘이 균등하지 않고 하나님에 의하여 “늘려졌었다”고 말한다.

 

그가 설명하기를, 만약 우주의 기반이 부분적으로 늘려졌다면 빛은 늘려지지 않은 부분에서 보다 이늘려진 부분에서 훨씬 더 빠르게 날라갈 것이라고 한다. 그는 기타 줄을 비유로 사용한다. 기타줄을 조이면 더 높은 피치의 음을 만들어내는데 이는 소리의 파장이 줄을 통하여 더 빠르게 흐르기때문이다. 마찬가지로 늘려진 우주공간은 빛이 훨씬 더 빠르게 지나가게 할 것이다.

 

Clark박사는 그의 기고”먼 별로 부터의 빛의 이해”에서 “2013년 창조론 국제 학회에서 Mark Amunrud는 아인스타인의 상대성 이론 공식을 사용하여 가장 먼 갤럭시로 부터의 빛이 지구에 도달하기에 단지  일주일 정도 밖에 걸리지 않을 것이라고 제안했다”고 기록한다.

 

빛이 갤럭시들 사이에서는 훨씬 더 빠르게 날라가기에 지구에 빨리 도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성경이 직접적으로 말하지는 않지만 먼 별빛 딜레마에 대한 하나의 해결책을 주기에 충분한 실마리를 제공한다.  

 

Notes: 

http://www.creationmoments.com/resources/blog/201407/making-sense-light-distant-stars.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81 땅콩 선생 김계환 2016-01-17 360
780 챨스 다윈과 칼 마릌스 김계환 2016-01-17 234
779 과학자들이 여전히 어떻게 생명이 시작했는가에 대해 실마리도 잡지 못했다 김계환 2015-12-21 338
778 공룡 화석에서 발견되는 탄소 14! 김계환 2015-12-21 231
777 선 페스트( 흑사병), 진화론자들의 골치거리 김계환 2015-12-21 202
776 어떻게 해마가 정사각형 꼬리를 가지고 있나? 김계환 2015-12-21 207
775 기독교의 죽음의 종소리? 김계환 2015-12-21 211
774 왜 이브가 아담의 갈비뼈로 만들어 졌을까? 김계환 2015-12-06 1445
773 공룡 날개! 김계환 2015-12-06 180
» 먼 별빛 딜레마 풀기 김계환 2015-12-06 171
771 성경의 67번째 책 김계환 2015-12-06 264
770 과학 논문들의 반이 사실이 아닐지도 모른다 김계환 2015-12-06 177
769 과학 사기의 사례 연구 김계환 2015-12-06 196
768 무엇이 옳은 답인가? 김계환 2015-12-06 184
767 우산 새 김계환 2015-12-06 236
766 진화론적 년도 측정의 속임수 김계환 2015-11-16 249
765 진화론이 이 거미줄의 희생물이 되려나 김계환 2015-11-16 253
764 더 많은 사람들이 창조론을 위한 동일한 시간을 원한다 김계환 2015-11-16 321
763 스스로를 치유하는 수퍼-수퍼 컴퓨터 김계환 2015-11-16 186
762 비교해 보니 인간이 닭에 더 가깝네 김계환 2015-11-16 19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