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막히게 잘 짜여진 관계들

조회 수 51 추천 수 0 2016.06.30 07:06:47

 

 

모든 것이 생각도 없는 우연의 결과이라면 존재하지 않을 것 같은 놀라운 디자인들이 우리 주위에 많이 존재한다. 새들은 여름동안에 곤충을 먹고 산다. 그러한 고 단백질의 먹이가 짝짓기와 번식의 계절에 유익하기는 하지만 겨울의 추운 날씨를 살아남기 위한 준비에는 그리 도움이 되질 않는다.

 

새들이 필요로 하는 것은 칼로리 저장과 보온막으로서의 지방층을 만드는 것이다. 그런데 겨울이 가까워오면 관목에서 온 여름동안 자라고 잘 익은 베리들이 점점 많아진다. 베리 쥬스의 높은 당 함량은 새들이 지방을 빠르게 축적하도록 돕는다. 추운 가을 아침에 얼어붙는 현상은 베리의 당도를 높여준다. 더 놀라운 일은 새들이 먹는 다양한 형태의 베리들이 서로 엇갈리게 익어서 베리 계절이 길고 계속하여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는 사실이다. 예를 들어 엘더베리의 공급이 거의 끝나 가면 크렌베리의 공급이 시작된다. 종종 여름에 태어난 새끼들의 깃털들은 이것들이 베리에서 얻어지는 다양한 색소들을 먹을 때까지 완전한 색깔에 도달하지 않으며 새끼들이 먹은 베리에 있는 색소들은 새로운 깃털에 사용되어진다. 대가로 그 새들은 베리의 씨들을 퍼뜨려 준다.

 

이 모든 복잡하고 연관된 시스템은 우아하고 잘 조율된 디자인 속에서 서로 간에 의존되어 있다.

 

Notes:

 

http://www.startribune.com/templates/Print_this_story?sid=64091192, 10/14/09, Val Cunningham, "Why bushes are better for birds."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61 오직 한 방향 길 김 계환 2007-06-20 1551
60 노벨상 수상자가 영혼을 암시한다. 김 계환 2008-02-17 1558
59 사실이 아니었던 사실들 김 계환 2008-01-03 1579
58 금붕어 어항안에서의 총천연색 삶 [2] 김 계환 2008-01-22 1594
57 부두 아스피린 [1] 김 계환 2007-05-01 1615
56 위험스러운 경이 김 계환 2008-01-29 1617
55 역 엔지니어링 김 계환 2007-05-04 1637
54 인간을 향한 거대한 한 발자국 김 계환 2007-10-01 1642
53 기막히게 하는 치이타 김 계환 2008-02-07 1657
52 1988년의 노아의 방주 탐사 김 계환 2008-01-25 1664
51 기발한 탈출 [1] 김 계환 2007-04-28 1671
50 팬다 엄지 김 계환 2007-05-07 1695
49 보호하고 가르치는 아버지들 김 계환 2007-05-15 1743
48 지구 온난화에 대한 햇빛의 영향 김 계환 2007-05-13 1765
47 날개달린 전사들 김 계환 2007-05-19 1771
46 동물들의 지능전술 김 계환 2007-08-15 1789
45 대폭발(Big Bang)의 메아리? master 2017-11-07 1795
44 말벌은 생물학적 불가능을 행한다. master 2020-07-29 1800
43 나비 물리학 김 계환 2007-04-27 1811
42 혼수 치료? 김 계환 2013-04-11 1831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