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의 소리

조회 수 77 추천 수 0 2020.01.15 06:21:38

음악의 소리

 

물리학과 음악 사이에는 긴밀한 연관성이 있다. 보통 소리를 이해할 수 있는 최상의 방법은 악기들이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관찰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현악기들이 어떻게 진동을 통해 음악을 만들어 내는지를 생각해 보라.

 

기타는 여섯 개의 같은 길이의 줄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여러 가지 인자들이 기타 소리에 영향을 미친다. 소리의 높이는 여러 가지 방식으로 달라진다. 줄 머리를 더 돌려서 기타 줄에 더 많은 긴장을 주면 소리 높이는 올라간다. 기타 줄은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지고 있다. 만약 여섯 줄 모두에 동일한 긴장을 주면 가장 두꺼운 줄이 가장 낮은 소리를 만든다.

 

소리 높이는 또한 줄 진동의 빈도의 측면에서 정의될 수도 있다. 빈도란 일초에 그 줄이 몇 번이나 진동하느냐를 의미한다. 빈도가 클수록 그 소리높이는 더 높다. 소리가 얼마나 크냐하는 것은 진폭이라고 불리는 소리 파장의 높이에 연관된다. 진폭이 클수록 그 소리는 더 크다. 이렇게 음악의 연구에는 많은 수학과 물리학이 필요하다. 그러나 아무리 많은 과학적 연구도, 예를 들어 왜 베토벤이 9번 교향곡 같은 작품을 썼을 때 그 다양한 음들과 음 높이 및 음색을 사용하기로 했는지는 설명할 수가 없다. 그 창조성은 오직 인간들이 하나님의 형상으로 만들어졌기에 가능했던 것이며 우리가 우리의 창조성을 발휘할 때에 우리는 하나님의 창조성을 반영하는 것이다.

 

Author: Paul F. Taylor

Ref: Salters Horners Advanced Physics (London: Heinemann: 2000), pp. 119-17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1161 수컷과 암컷의 미스터리 master 2021-04-13 157
1160 우리 모두는 왼손잡이다. master 2021-04-13 85
1159 평가 절하된 후각 master 2021-04-03 64
1158 의약품으로 가득한 뜰과 숲 master 2021-04-03 60
1157 실수가 없는 박쥐경보기 master 2021-03-26 68
1156 열대우림이었던 북극 master 2021-03-26 125
1155 당신이 느낄 수 있는 몸 안의 시계 master 2021-03-18 110
1154 펭귄을 집어들어요. master 2021-03-18 57
1153 기린의 디자인 master 2021-03-10 230
1152 숲에 사는 기린 master 2021-03-10 61
1151 방탄 거미 master 2021-03-02 556
1150 훌륭한 고대 과학 master 2021-03-02 72
1149 메뚜기사이프러스 master 2021-02-22 127
1148 모태에서 배우기, 모태로 부터 배우기 master 2021-02-22 54
1147 후각의 기적 master 2021-02-14 67
1146 화석 개미집 master 2021-02-14 82
1145 이상한 섬의 사랑 노래 master 2021-02-07 64
1144 진짜 잡식성 master 2021-02-07 402
1143 제킬과 하이드 프로토조안 master 2021-01-30 68
1142 개미들의 도로교통부 master 2021-01-30 4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