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사체험과 십자가 구원

조회 수 178 추천 수 1 2021.06.16 16:10:49

 

 

임사체험과 십자가 구원

 

이 시리즈를 시작하는 첫 시간에 성경 66권을 십초 만에 통독하는 비결을 말씀드렸습니다. 성경의 첫 구절인 “태초에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시니라”(창1:1)와 마지막 구절인 “주 예수의 은혜가 모든 자들에게 있을찌어다”(계22:21)를 연결해 보면 됩니다. 요컨대 모든 사람이 예수를 믿어 구원 얻는 것이 창조주 하나님의 뜻이라는 것입니다. 성경전체가 말하는 바는 모든 사람에게 예수님의 십자가 은혜 외에 소망이 없고 구원의 길도 없다는 것입니다.

 

필연적으로 타 종교인이나 일반 무신론자들로부터 상당한 반발을 살 수밖에 없습니다. 그런데 구원을 받아야만 할 인간의 상태에 대한 해석이 서로 전혀 다르기 때문에 그런 차이가 생긴다는 사실을 잘 모르고 있습니다. 구원이 필요한 절대적 전제가 둘은 서로 완전히 다릅니다. 그 첫째 전제는 인간은 자기 죄를 스스로 씻을 수 있고 또 고치며 거룩해져서 하나님의 심판대에서 합격점수를 받을 자신이 있다는 입장이 있습니다. 둘째는 그와 반대로 도저히 그럴 수 없다고 겸손히 인정하는 입장입니다.

 

구원의 전제가 다르니 구원의 방법도 각기 달라질 수밖에 없습니다. 먼저 스스로 의로워질 수 있다면, 종교들마다 의로워지는 방식을 조금씩 다르게 제시하지만, 어쨌든 자기에게 맞는 것을 택하여 그대로 순종 실천하면 됩니다. 반면에 인간은 죽어도 스스로 의로워질 수 없다면 하나님이 당신의 독생자를 죄인을 구원하러 이 땅에 보내시고 십자가에 대신 죽게 하신 은혜를 믿음으로 받아들임으로써 구원을 받아야 합니다.

 

기독교만이 구원의 전제가 다른 모든 종교와 다르기 때문에 구원의 방안도 달라지는 것입니다. 따라서 기독교에 대해 예수 십자가가 왜 유일한 길이냐고 반박하지 말고 과연 내가 하나님의 기준에 합격해 스스로 의로워질 가능성이 있는지부터 따져보는 것이 합리적인 태도일 것입니다.

 

잠시 죽었다가 다시 소생하는 임사체험을 하는 자들이 간혹 있습니다. 그런 분들이 공통적으로 경험하는 사항이 하나 있습니다. 자신의 일생이 순간적으로 영화 필름처럼 눈앞을 스쳐 지나가는데 생생하게 그 모든 것을 기억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어쩌면 하나님의 심판대 앞에서 심사받는 모습이 인간에게 그런 방식으로 나타나는 것인지도 모릅니다.

 

만약에 한 인간의 평생을 그 행동과 말은 물론 생각까지 완전히 찍을 수 있는 촬영기가 있고, 하나님이라면 얼마든지 가능한 일이니까, 그 영상을 하나님과 함께 본다고 가정해보십시오. 과연 끝까지 떳떳하게 다 볼 수 있을까요? 끝까지 흔들림 없이 하나님과 함께 볼 자신이 있는 사람이라면 자기에게 합당한 종교를 선택해 믿으면 됩니다. 그 종교로 정말로 구원 받을지 못할지 모르지만 어쨌든 본인의 주관 철학 소신에 따를 수밖에 없습니다.

 

반면에 그런 영상을 하나님과 함께라면 단 일분도 자신이 너무 부끄러워서 못 보겠다고 인정하는 자도 있습니다. 그럼 그 큰 죄 값을 당신께서 십자가에 다 감당하고 죽으신 예수님의 은혜를 겸손히 받아들일 수밖에 없습니다.

 

종교끼리 그 내용과 의식과 계명들을 서로 비교 대조하며 우열을 따져서 기독교가 베스트라고 말하는 것이 아닙니다. 구원의 전제가 다르면 구원의 방법도 달라집니다. 기독교만이 다른 종교와 그 전제가 전혀 다르니 구원의 방법도 오직 하나 예수님의 십자가뿐인 것입니다.

 

아직도 예수님의 십자가가 잘 이해되지 않고 믿어지지 않는 자라면 정말로 심각하게 내 일생의 영상이 어떻게 찍힐지 고민해 보시기 바랍니다. 반면에 이미 예수를 믿은 신자라면 단 일분도 부끄러워서 내 영상을 하나님과 함께 볼 수 없었던 처지였는데도 아무런 조건과 공적 없이 하나님의 자녀로 삼아준 예수 십자가의 은혜가 얼마나 큰지 다시 한 번 감사하고 주님 안에서 항상 기쁨으로 살아가시기 바랍니다.

 

(6/16/202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창조가 두 번 있었는가?-유대인들에게 물어보라.

창조가 두 번 있었는가? - 유대인들에게 물어보라. 성경은 하나님이 태초에 질서 있고 체계적으로 창조했다고 기록합니다. 당신께서 뜻하신 대로 완벽하게 단 번에 창조하신 것입니다. 그러나 이에 반대하여 첫째 창조는 실패했기에 완전히 다 폐하시고 다시 ...

  • master
  • 2022-04-07
  • 조회 수 212

성경 첫마디의 너무나 엄숙한 의미 [1]

“태초에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시니라.” - 성경 첫마디의 너무나 엄숙한 의미 창조는 단번에 완벽하게 이뤄진 것입니다. 창세기 1:1 말씀을 보면 태초, 하나님, 천지, 창조 네 단어뿐입니다. 태초가 구체적으로 언제인지, 하나님이 어떤 분인지,...

  • master
  • 2022-04-14
  • 조회 수 215

성경이 왜 하나님의 책인가?(9)-어쨌든 인간의 저작이지 않느냐?

성경이 왜 하나님의 책인가? (9) 어쨌든 인간의 저작이지 않느냐? 성경은 하나님이 역사하지 않고는 일어날 수 없는 비상한 사건과 저작 당시의 인간으로선 도저히 각성해낼 수 없는 진리를 기록하고 있기에 하나님의 절대적 진리라고 세 번에 걸쳐서 말씀드...

  • master
  • 2022-01-19
  • 조회 수 216

창조의 확실한 증거-창조주의 알리바이가 없다.

창조의 확실한 증거 - 창조주의 알리바이가 없다. 제가 불신자 시절에 지금 생각하면 너무나 아찔하게도 저에게 전도하는 사람들에게 하나님이 살아 계시면 내 눈 앞에 데려와 보여 보라고 대들었습니다. 마찬가지로 흔히들 창조나 창조주의 증거를 보이라고 ...

  • master
  • 2022-04-22
  • 조회 수 216

창조주를 조물주로 격하시키는 신자들(청년들이 교회를 외면하는 첫째 이유) [2]

창조주를 조물주로 격하시키는 신자들 (청년들이 교회를 외면하는 첫째 이유) 제가 운영하는 유튜브 채널을 기독교 변증이라고 이름을 붙인 이유가 있습니다. 저는 33살에 예수님을 믿기 전까지 지독한 안티 크리스천이었습니다. 그러다 교회를 출석하고 보니...

  • master
  • 2021-08-04
  • 조회 수 218

궁극적 문제는 바로 네 영혼이야!

궁극적 문제는 바로 네 영혼이야! 예수님은 죄에 대한 정의(定意)를 새롭게 내렸습니다. 말로 형제에게 바보라고 모욕하여 상처를 주면 살인이라고 했습니다. 여자를 보고 음욕을 품으면 마음에 이미 간음한 것이라고도 했습니다. 당시는 율법의 규정을 행동...

  • master
  • 2021-06-30
  • 조회 수 219

홍해의 기적이 안 믿어지는가? [2]

홍해의 기적이 안 믿어지는가? (모세의 이름에 숨겨진 비밀) 하나님이 모세에게 직접 계시해준 이름은 실제 이름이 아니었습니다. 우리말로 치면 단순히 “내다”인데 모든 인간에게 절대자이자 아버지 같은 존재라는 뜻입니다. 그런데 하나님이 그...

  • master
  • 2021-05-12
  • 조회 수 223

기독교 신앙은 종교가 아니다. [1]

기독교 신앙은 종교가 아니다. 사람들이 종교를 갖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입니다. 첫째 현실 삶의 고통을 해결하고 둘째 죽음 이후에 낙원의 삶을 보장 받으려는 것입니다. 모든 종교들이 이 둘에 대해 나름의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흔히들 모...

  • master
  • 2021-07-21
  • 조회 수 224

하나님이 살아 계신 가장 확실한 증거 (3)

하나님이 살아 계신 가장 확실한 증거 (3) 제가 불신자 시절에 교회 다니는 친구가 저를 전도하려고 많이 노력했습니다. 매번 저는 “하나님을 내 눈 앞에 보여 봐라 그러면 믿겠다. 하나님의 실체도 증명하지 못하면서 나더러 더 이상 믿으라고 강요하...

  • master
  • 2021-09-08
  • 조회 수 225

성경은 과연 믿을만한 책인가?(1) [2]

성경이 왜 하나님의 책인가?(1) 성경은 과연 믿을만한 책인가? (1) 하나님이 실존하여서 개인의 인생과 인간 공동체에 개입해 당신의 뜻대로 주관하고 통치하시고 있다면 그 사실을 인간더러 알게 해주셔야만 합니다. 그것을 특별계시라고 하는데 성경과 예수...

  • master
  • 2021-11-10
  • 조회 수 225

수시로 하나님의 장례식을 치르는 신자

수시로 하나님의 장례식을 치르는 신자 마르틴 루터의 아내 카타리나가 하루는 종일 까만 상복을 입고 집안일을 하고 있었습니다. 루터가 누구의 장례식에 다녀왔느냐고 물었더니 아내는 하나님의 장례식에 갔다 왔다고 대답했습니다. 루터가 무슨 그런 큰일 ...

  • master
  • 2021-08-18
  • 조회 수 228

계시하시는 하나님 각성하는 인간 (2) 네 부류의 인간

계시하시는 하나님 각성하는 인간 (2) - 네 부류의 인간 하나님이 실존한다는 것이 확실하다면 그 다음에는 그 분이 어떤 분인지 알아나가야 합니다. 그런데 피조물인 인간은 그분의 실체를 알 수 없습니다. 하나님 쪽에서 먼저 당신을 보여주어야만 알 수 있...

  • master
  • 2021-10-06
  • 조회 수 230

하나님은 다 같은가?

하나님은 다 같은가? 지난주에 하나님이 정말로 살아 계시다면 어떻게 할 것이냐는 질문을 드렸습니다. 불신자들에게 던지는 뜻은 내 인생이 이 땅에 무작정 던져진 것이 아니라는 점이 확인되면 과연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이냐는 뜻입니다. 그 질문이 하나님...

  • master
  • 2021-04-01
  • 조회 수 231

푸틴처럼 살거나 성경대로 살거나 둘 중 하나다. [1]

푸틴처럼 살거나 성경대로 살거나 둘 중 하나다. 지금껏 62회에 걸쳐서 창조주 하나님과 연결해서 기독교 신앙에 관한 가장 기본적인 개념을 다각도로 변증해봤습니다. 이제부턴 성경본문에 대해서도 알아봐야 하므로 마지막으로 간단히 리뷰 해보려 합니다. ...

  • master
  • 2022-05-13
  • 조회 수 247

가톨릭은 적자이고 개신교는 서자인가?

가톨릭은 적자이고 개신교는 서자인가? 하나님이 인간을 창조하신 첫째 목적은 당신을 대신하여 이 땅을 정복하고 당신의 뜻에 합당하게 모든 피조물을 거룩하게 다스리라는 것이었습니다.(창1:28) 요컨대 지구 환경은 물론 다른 동식물도 함께 번성해야 하고...

  • master
  • 2022-06-10
  • 조회 수 250

창조(創造)의 의미도 정확히 모르는 신자들

창조(創造)의 의미도 정확히 모르는 신자들 성경의 창조기사는 전체 1189장중에 오직 2장에 불과합니다. 창조를 구체적으로 기록하자면 끝이 없지만 저작 당시로선 비디오영상이나 과학논문처럼 기록할 수는 없었습니다. 성경에서 그런 식의 기록을 기대하거...

  • master
  • 2022-03-18
  • 조회 수 251

성경은 네 가지 이야기다.-창조, 타락, 구속, 완성

성경은 네 가지 이야기다.-창조, 타락, 구속, 완성 성경은 인간 저자들이 성령으로 영감을 받되 인간의 언어로 기록했기에 그 형식은 문학작품일 수밖에 없습니다. 오늘은 그 문학이라는 형식에 담긴 하나님의 진리 즉, 성경내용에 관해 신자들이 반드시 알아...

  • master
  • 2022-03-02
  • 조회 수 260

세계 최고 무신론자가 창조론을 옹호하다.

세계 최고 무신론자가 창조론을 옹호하다. 세계 최고 무신론 과학자로 영국 옥스퍼드 대학의 석좌교수이자 생물학자인 리챠드 도킨스를 꼽을 수 있습니다. 그는 ‘이기적 유전자’ 와 “눈 먼 시계공” 이론을 고안해 진화론을 변증했고 ...

  • master
  • 2021-03-17
  • 조회 수 263

성경이 왜 하나님의 책인가?(8)-그 내용이 말한다.(2)/욥기의 비밀 [1]

성경이 왜 하나님의 책인가? (8) 그 내용이 말한다. (2) / 욥기의 비밀 성경이 하나님의 절대적 말씀일 수밖에 없는 근거는 기독교 교리이기 이전에 인간의 상상이나 각성으로는 도무지 저작할 수 없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인간사회에서 일상적...

  • master
  • 2022-01-13
  • 조회 수 270

성경도 문학작품이다.-국어시험 치듯이 읽어야 한다.

성경도 문학작품이다. - 국어공부 하듯이 읽어야 한다. 이제 성경이 말하는 바를 본격적으로 알아볼 텐데 그 전에 성경해석에서 너무나 중요한 사항을 하나 말씀드리겠습니다. 성경을 올바르게 이해하는데 가장 먼저 또 반드시 감안해야 할 너무나 중요한 요...

  • master
  • 2022-02-24
  • 조회 수 27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