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벌

조회 수 530 추천 수 31 2013.02.10 06:14:07
한 세기에 걸쳐 그것은 전설의 벌이였다. 인도네시아 섬의 원주민들은 그것을 왕벌이라고 불렀다. 1800년대에 처음으로 이 왕벌이 과학자에 의해서 기록되었다. 그런데 100여년에 걸친 탐사에도 불구하고 이 가장 큰 벌들은 세상에서 볼 수가 없었는데 1980년대에 다시 발견되었다.

이 왕벌은 벌새의 크기이다. 과학자들은 이 왕벌이 날때 마치 벌새처럼 소리가 난다고 말한다. 크기 뿐만이 아니라 암컷 왕벌은 커다란 아래 턱으로 인해 쉽게 분별되어질 수 있다. 이것들은 자신의 숲속 집에 있는 나무들로 부터 생겨나는 나무진을 수집하기 위하여 그 아래턱을 사용한다. 나무진을 모아서 아래턱으로 공 모양으로 만든다음 아래턱에 넣어 자신의 집으로 나른다.  수컷 왕벌은 더 몸집이 작고 그 아래턱은 몸과 더 좋은 비율의 크기이다.

왕벌의 집은 약 농구공의 크기이다. 이것들은 나무에 사는 개미집 안에 지어진다. 이 벌은 나무 진을 사용하여 집을 짓는데 이는 개미들에게 이 나무 진이 전혀 영양적 흥미를 제공하지 않기때문이다. 이 벌들을 연구한 한 과학자는 이 왕벌의 쏘임은 꿀벌의 쏘임만큼이나 통증을 주지않으며 일반적으로 그리 공격적이지 않다고 말한다.  

이 거대한 왕벌은 심지어 개미들 가운데에서도 자신들의 집을 안전하게 만들 수 있도록 조심스럽게 디자인되어졌다. 이 놀라운 생물의 지적인 능력은 우리의 창조주을  증언한다.

Notes:
J. A. Miller. 1984. “Jungle Jaws: Giant Bee Rediscovered on Indonesian Islands.” Science News, May 12, p. 293. Photo: Indonesian Megachile pluto. Courtesy of Stavenn. Licensed under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Share Alike 3.0 Unported license.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861 선악을 바로 아는 것 김 계환 2012-02-20 464
860 우리의 시력이 하나님의 손길을 증명한다. master 2018-07-04 463
859 한 잘못된 년도측정 김 계환 2012-11-19 463
858 아담이 그렇게 오래 살았을까? 김 계환 2012-01-27 463
857 하나의 감동적인(touching) 사실 [1] 김 계환 2011-06-22 462
856 시간을 잴 줄 아는 독사 김 계환 2011-02-20 460
855 와스프 벌들이 생물학적으로 불가능한 것을 행한다. 김 계환 2010-12-01 460
854 이 새우는 한방을 지녔다 김 계환 2012-03-12 458
853 박테리아의 마음 [3] 김 계환 2011-10-23 458
852 외눈박이 귀 김 계환 2011-03-14 456
851 생명의 기원에 대한 또 다른 이론 master 2020-08-28 455
850 새로운 빨리 날기 챔피언이 발견되다 김계환 2016-05-19 455
849 당신 뇌안의 채소구역 [1] 김 계환 2012-11-09 453
848 붉은 시리우스의 신비 김 계환 2011-08-29 452
847 화석들이 창조를 보여준다 김 계환 2012-03-17 451
846 은에 새겨진 진실 김 계환 2011-11-27 450
845 수백만년된DNA라고? 김 계환 2011-02-08 450
844 당신의 좋은 건강을 유지하기위해 분주한 박테리아 김 계환 2010-12-23 450
843 내장된 오류교정 김 계환 2011-11-23 448
842 이것이 난초인가 곤충인가? [1] 김 계환 2011-10-17 44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