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로 부터의 멸망?

조회 수 356 추천 수 45 2013.04.22 21:08:23
이 지상의 모든 생명은 언젠가 거대한 소행성과의 치명적인 충돌로 인하여 완전히 멸망할 것이라는 주장들을 자주 듣는다.

미 화학공학회의 바로 전 회장이었던 Arthur Humphrey에 의하면 지구는 최근에 여러개의 치명적인 소행성과의 충돌을 비켜나갔다고 한다. 그는 1989년과 1991년에 두개의 소행성이 단지 수 십만 마일로 지구를 비켜나갔다고 말한다. 험프리는 지구의 궤도를 지나가는 소행성들이 약 11000개가 있다고 추정한다.

그는 과학자들이 지구의 궤도를 지나가는 모든 소행성들의 궤적을 지도로 그려서 지구를 위협하는 어느 소행성을 미연에 방지하는 기회를 얻을 수 있다고 제안했다. 그 프로적트의 예산은 2천만 달러였다.

우리의 미래가 우연에 달려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에게는 이 지구는 무서운 장소가 된다. 그러나, 우리 태양계의 디자인을 생각해 보라. 지구는 우리를 위하여 태양으로 부터 바로 정확한 거리에 있다. 만약 우리가 1%만 더 가까이 있거나 더 멀리 있으면 이 지상에 생명이 존재할 수 없다. 우리의 태양은 놀랍게 안정된 별이다. 만약 태양이 다른 많은 별들과 같다면 (변덕스런)태양의 에너지로 인해 지구의 온도가 매우 높아지거나 혹은 매우 낮아질 것이다. 이와 같은 놀라운 상관관계들은 우연의 결과물이 아니다. 이것들은 사랑이 풍성하신 창조주의 디자인의 증거인 것이다. 그리고 그 분께서 당신이 이 지상으로 다시 오실때에 이 지구상에 인간들이 살고 있을 것이라고 말씀하셨다.

Notes:
Arthur E. Humphrey. 1991. “The Squeaky Wheel.” AICHE. Dec., p. 12. K. M. Reese. 1992. “The Hazard of Asteroids.” C & EN, Feb. 3, p. 68. Photo: NASA simulation of Asteroid 2012 DA 14 as it heads toward Earth. The close-call occurred 2/15/1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761 춤추는 벌들 [1] 김 계환 2011-10-13 365
760 대륙 이동과 대홍수 master 2018-09-18 362
759 인간의 다 방향 유전자 코드 김계환 2015-06-22 361
758 땅콩 선생 김계환 2016-01-17 360
757 물들의 중간에서 김 계환 2014-04-22 357
756 진정한 순간 접착제 [2] 김 계환 2013-11-25 357
» 우주로 부터의 멸망? 김 계환 2013-04-22 356
754 빛으로 유혹하기 김 계환 2014-02-20 354
753 어린 찰스 다윈의 믿음 master 2023-02-10 347
752 벌들의 온도조절 [2] 김 계환 2014-01-20 346
751 유익한 벌꿀 안내자 김 계환 2013-10-28 342
750 식물이 빛을 한곳으로 모은다 김 계환 2013-05-22 341
749 완전 파란 눈 master 2018-04-03 340
748 볼라 거미의 속임수 김 계환 2013-03-28 340
747 과학자들이 여전히 어떻게 생명이 시작했는가에 대해 실마리도 잡지 못했다 김계환 2015-12-21 338
746 교묘한 시그널 master 2021-07-05 335
745 의사 선생 모세 김계환 2015-08-06 334
744 얼마나 많은 별들이 있나? [1] 김 계환 2014-03-23 332
743 인류 : 그 잃어버린 시간 master 2016-12-12 329
742 날개 짓을 하는 공룡 master 2020-07-03 32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