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들의 온도조절

조회 수 346 추천 수 37 2014.01.20 04:11:23

우리는 편안한 온도에서 살기를 좋아한다. 고대인들의 유적지에서 발견된 흔적들은 집들과 전 도시가 여름에는 주된 바람을 붙잡을 수 있으며 겨울에는 추위를 피할 수 있도록 위치가 정해졌었음을 보여준다.

마찬가지로 꿀벌들도 자신들의 벌집을 화씨 95도로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을 좋아하는데 그렇게 하는 이들의 방법이 참 기발하다. 날씨가 추워지면 벌들은 벌집의 중앙에 모여서 빠른 숨쉬기를 통해 자신들의 대사를 증가시켜 여분의 열을 발생시킨다. 다른 벌들은 벌집의 옆쪽으로 자리잡아 열을 차단하는 절연체로 역할을 한다. 만약 바깥쪽이 계속하여 온도가 낮으면 벌집의 따뜻한 중앙에 있는 벌들이  차가운 옆쪽에 있는 벌들과 자리를 바꾼다. 만약 날씨가 너무 더워지면 일부 벌들이 선풍기 열할을 하여 바깥쪽의 차거운 공기를 벌집 안쪽으로 불어넣는다. 만약 이것이 충분하게 온도를 식혀주지 못하면 다른 벌들은 집을 나가 물을 날라오고 또 다른 벌들이 이 물을 벌집의 벽에 바른다. 이제 일부 벌들의 선풍기가 물을 증발시킴으로 벌집의 온도가 떨어진다.

모든 창조에서 볼 수 있는 이러한 지적인 능력은 지능이 진화의 산물이라는 주장에 반하는  강력한 증거를 제시한다. 지능은 창조물에 대한 하나님의 선물인 것이다!

Notes: 
Joanne E. DeJonge. Bats and Bugs and Snakes and Slugs. Baker Book House, pp. 61-63. Photo: Honey bee carries nectar back to the hive, with pollen attached. Courtesy of Muhammad Mahdi Karim. Licensed under the GNU Free Documentation License, Version 1.2.

사라의 웃음

2014.01.20 13:31:22
*.109.85.156

벌들이 넘 귀여워요~~^^

임화평

2014.01.30 05:23:13
*.92.85.148

참으로 벌들의 공동체 생활이 인간을 능가하네요
주 하나님 지으신 세계 감탄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761 춤추는 벌들 [1] 김 계환 2011-10-13 365
760 대륙 이동과 대홍수 master 2018-09-18 362
759 인간의 다 방향 유전자 코드 김계환 2015-06-22 361
758 땅콩 선생 김계환 2016-01-17 360
757 물들의 중간에서 김 계환 2014-04-22 357
756 진정한 순간 접착제 [2] 김 계환 2013-11-25 357
755 우주로 부터의 멸망? 김 계환 2013-04-22 356
754 빛으로 유혹하기 김 계환 2014-02-20 354
753 어린 찰스 다윈의 믿음 master 2023-02-10 347
» 벌들의 온도조절 [2] 김 계환 2014-01-20 346
751 유익한 벌꿀 안내자 김 계환 2013-10-28 342
750 식물이 빛을 한곳으로 모은다 김 계환 2013-05-22 341
749 완전 파란 눈 master 2018-04-03 340
748 볼라 거미의 속임수 김 계환 2013-03-28 340
747 과학자들이 여전히 어떻게 생명이 시작했는가에 대해 실마리도 잡지 못했다 김계환 2015-12-21 338
746 교묘한 시그널 master 2021-07-05 335
745 의사 선생 모세 김계환 2015-08-06 334
744 얼마나 많은 별들이 있나? [1] 김 계환 2014-03-23 332
743 인류 : 그 잃어버린 시간 master 2016-12-12 329
742 날개 짓을 하는 공룡 master 2020-07-03 32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