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드로 묵상] 일치의 법칙

조회 수 896 추천 수 32 2009.06.02 20:13:19
샬롬~ 이선우 집사입니다. 오랜만에 존경하옵는 목사님과 Faith Park 형제 자매님들께 문안인사 드립니다. 늘 생각은 있지만 글을 쓰거나 흔적을 남기기는 이렇게 어려운 것 같습니다. 그새 저는 대만을 떠나 독일 프랑크푸르트로 온지 넉달이 되어 갑니다. 이곳에서도 주재원으로서의 생활이 눈코 뜰새 없이 바쁘기는 마찬가지요.^^

언젠가 베드로 묵상 두 개를 이곳에 올린 적이 있었습니다. 이번 것은 베드로가 물 위를 걷는 장면을 묵상하면서 실생활에서 어떻게 하면 주님과 동행하며 일치를 경험할 수 있을까, 하는 주제를 가지고 나름대로 사건을 해석해 본 것입니다. 고민의 시각에 따라서는 엄청 지루하실 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래도 혹시 그 안에서 담을만한 것만 마음에 두시면 좋겠습니다. 베드로가 나이 들어 자신의 영적 아들이자 제자인 마가 요한에게 후일담으로 들려주는 이야기 형식입니다. 늘 영육간에 강건하시기를 빕니다.

~ㅇ~ㅇ~ㅇ~ㅇ~ㅇ~ㅇ~ㅇ~

아들 마가야, 지난 번 들려준 오병이어의 기적에 이어 이번엔 예수님과 물 위를 걸었던 신기한 경험을 얘기해 줄 차례구나. 내 일생에서 어쩌면 제일 신났던 경험일거야. 물위를 걷는다는 것은 기적 중의 기적이었거든. 내 친구들도 다들 나를 부러워 했었지. 조금 싱겁게 끝나기는 했지만..

그 날 말이야. 내 동생 안드레, 야고보 형제, 빌립, 도마 등 우리 제자들은 빈들에서 게네사렛을 향해 배를 띄웠지. 주님께서 오병이어의 기적을 일으키신 후 갑자기 기도하러 혼자 근처 산속에 남아 계시겠다는 거야. 그러시면서 우리 보고는 먼저 배를 타고 벳세다로 건너가 있으라는 거지. 예수님이 걱정은 되었지만, 늘 그러시는 분이니까 어찌 되겠지 하는 생각으로 우리는 저녁 느즈막해졌을 때에야 배를 띄웠어. 배가 출발하기 무섭게 갈릴리 바다에는 풍랑이 세차게 불어왔어. 맞바람이 치면서 배는 잘 가질 못하고 있었어.

사건이 일어난 것은 자정이 훨씬 넘었을 때였을거야. 다들 노를 잡고 힘겹게 파도와 싸움을 하고 있던 중, "유령이다"라는 누군가의 외침이 들려온 거야. 친구들이 손으로 가리키는 방향을 따라보니, 웬 시커먼 물체가 바다 위에 떠 있었지 않겠느냐. 이게 꿈인가 하여 두 눈을 부비고 다시봐도 뭔가 시커먼 것이 그대로 있는 거야. 아니, 그것은 우리 쪽으로 조금씩 다가오고 있었어. 배 안에서는 난리가 났지. "오 하나님, 우리를 구원하소서!" 여기저기 구원을 향한 기도소리도 들렸어. 다들 이제는 유령에게 잡혀 죽게 생겼구나, 라고 생각했지. 왜, 하필 이런 때에 주님은 우리와 함께 있지 않았을까? 한순간의 의문이 내 머리 속을 스쳐갔어. 주님이 계셨으면 저런 유령 따위는 걱정도 없었을텐데. 그런데 그 주님이 안 계시니..

어느새 그 유령은 배와 지척 간으로 다가왔어. 비바람이 매섭게 치는 가운데 보이는 것은 희미하지만 사람의 형태였어. 다들 생각했지, 그래 어차피 유령도 사람의 형태로 되어 있거든. 그런데 그 유령 쪽에서 갑자기 소리가 들려온 거야. 나는 그때 뒷쪽에 남아 있어서 잘 들리지가 않았어. 앞쪽에서 웅성이는 소리가 들려왔어. 뭐라고 그러는 거야? 빌립이 앞쪽에다 소리쳤어. 예수님이래! 앞쪽의 누군가가 답해 주었어. 아, 유령처럼 서 있는 앞의 시커먼 물체가 주님이시라는 얘기가 아닌가? 그러는 동안 나도 앞쪽으로 가까이 다가가 보니, 이제는 서 있는 그 사람의 윤곽이 잡히더군. 빗줄기와 풍랑 때문에 잘은 보이지 않았지만 분명 여자가 아닌 남자의 모습이었지.

"아니야, 예수님을 가장한 유령일거야. 예수님이 이렇게 빨리 오실 수 있겠어? 그리고 생각해봐, 사람이 어떻게 물위를 걸을 수 있겠느냐구? 아이고, 이제 우리는 죽었구나!" 도마가 그렇게 얘기하자 배 안은 금방 슬픔의 도가니로 바뀌어 버렸어. 그렇지만 시커먼 물체는 더 이상 다가오지 않았어. 아마 뭔가를 기다리고 있는 것 같앴어. 그렇게 혼돈의 순간이 있은 후에야, 평상시 눈썰미 좋은 야고보 동생 요한이 외쳤지. "예수님이다, 예수님 맞아. 저기봐, 얼굴의 구렛나루도 보이잖아. 분명, 주님이셔." 저쪽에서 요한의 외침에 대답하는 소리가 이제는 희미하게 들려왔어. "그래, 나다. 두려워말아라." 바람을 타고 들려오는 소리, 그것은 분명 예수님의 목소리였지. 와, 살았다! 여기저기 감격과 환호성의 소리가 들려왔어. 나는 생각했지. 그래 맞아, 예수님이 물위를 걸어서 우리한테 오신거야. 잠깐이지만 우리는 하늘과 땅을 다스리시는 주님의 능력을 잊고 있었던 거야.

나는 신이 나서 외쳐댔어. "주님, 주님이시라면 나더러 물 위로 걸어서 주님께로 오라고 명령해 주십시요." 분명 주님이시라면, 나도 물위를 걸을 수 있게 해 주실거야, 라는 단순한 생각이었어. 저쪽에 계신 주님께서 말씀하셨지. "그래, 이리로 오라." 주님의 명령이 떨어지기가 무섭게 나는 친구들한테 부탁해서 배 밖 파도위로 첫 발을 디뎠어. 그 때 무슨 생각을 했었느냐구? 아무 다른 생각은 없었어. 앞에 서 계신 예수님만 바라보았지. 주님이 거기 계시니까. 그 주님만 바라보고 한 발자국, 두 발자국 계속해서 조금씩 걸어간 거야. 파도가 넘실대는 그 물 위를 말이야! 사실 내 발 밑이 물이라는 생각도 그 순간엔 잊어버리고 있었어. 오직 나를 향해 팔을 벌리고 웃음짖는 주님의 얼굴만 바라보며 한발 한발 나아간거야. 그래, 그거야. 바라봄의 법칙! 주님만 바라보고 나아가면 불가능이 없어. 물 위라도 걸을 수 있는 거야. 주님만 바라보라!

그런데, 그게 있지. 주님만 바라보고 계속 간다는게 말처럼 쉽지 않더라고. 한순간 성난 파도가 일자 나는 정신이 번쩍 났어. 아니, 내가 뭐하고 있는 거야. 물위를 걷고 있잖아. 우선은 우쭐한 생각이 들었어. 친구들 중에 내가 최고라는 빵빵한 기분, 그거 알지? 아차 하는 순간에 교만이라는 놈에게 내 몸을 맡긴거야. 그러고나서, 현실을 확인한 나는 내 발 밑의 파도를 보기 시작했어. 내가 갈리리 바다 한 복판 깊은 곳에 서 있다는 것을 깨닫는 순간, 내 발은 물 속으로 들어가기 시작하지 뭐야. 어, 하는 사이 어느새 내 몸은 허리까지 빠져 들어갔어. 순간적으로 죽음의 공포가 밀려왔어. 앞에 계신 주님께 죽어라고 소리쳤지. "주님, 살려 주세요!" 공포와 절망 속에서 내가 할 수 있는 일이라곤 아무것도 없었지. 단지 주님께 살려달라고 전심을 다해 소리지는 것 밖에는.. 내가 평상시에 물 속에서 얼마나 자맥질을 잘 하는 지는 마가 네가 알거야. 하지만, 그 순간 나는 아무 생각도 할 수가 없었어. 물 위를 걸었다는 자만심 속에서 물 속으로 다시 빨려 들어갈 때는 오직 캄캄한 죽음의 절벽 밖에는 보이지 않더군.

예수님이 어느새 다가와 허우적거리는 내 손을 잡아 주셨어. 내가 어떻게 예수님의 손을 잡았는지도 몰라. 어떻게 예수님이 빠져가는 내 몸을 끌어올렸는지도 정확히 기억이 안나. 다만 정신을 차렸을 때는 내 몸이 이미 물 밖에 있었고 나는 예수님의 손을 꼭 잡고 물위에 떠 있었어. 배 쪽에서는 안도의 한숨과 함께 박수와 환호성이 들려왔지. 정신이 없어 예수님께 감사의 말씀도 올려 드리지 못했어. "믿음이 적은 자여, 왜 의심하였느냐?" 주님의 책망어린 말씀만이 내 귀를 맴돌았을 뿐이야. 믿음이 적은 자여! 그래, 나는 아직도 멀었어. 주님만 바라보지 못하고 한갖 세상의 파도 앞에서 의심만하고.. 쳇, 이게 무슨 꼴인가? 친구들 앞에서 개망신만 당했잖아. 몇 발자욱 물위를 걸었던 그 기적은 어느새 뒷전에 두고 나는 부끄러움에 젖어 버렸어.

어느덧 예수님과 함께 나는 배 위로 올라와 쑥스럽지만 친구들의 박수와 함께 축하를 받았지. 모두들 예수님께 경배의 절을 드렸어. 동생 안드레가 옆에서 자꾸 물 위를 걸었던 기분이 어떠냐고 채근했지만, 그냥 건성으로 대답하면서 내 생각은 계속 딴 곳으로 향했어. 왜 내가 실패했을까? 어떻게 했으면 그 때 계속 물위를 걸을 수 있었을까? 아무리 자문해도 그 당시에는 뾰족한 해답을 발견할 수가 없었어. 그렇다고 다시 이 문제를 주님께 여쭤 보기에는 좀 그랬고.. 그러다 훗날, 성령님이 내게 임하시고 깨달아지는 부분이 있었단다. 그것은 뭐랄까? 글로바 형제가 엠마오 길에서 예수님을 만났음에도 처음엔 알지 못하고 있었다가 나중에서야 눈이 밝아져 주님인 줄 깨달은 것과 같은 이치였지. 그것은 내가 또다시 물위를 걸었던 두번째 기적의 사건을 간과했다는 거야.

첫번째 기적은, 내가 주님만 바라보고 주님께 나아가면서 물위를 걸었던 거야. 명백하지? 나와 친구들 모두 그 첫번째 기적에만 집착해서 두번째 기적은 까맣게 잊고 있었지. 그게 뭘까? 그래, 그것은 바로 주님과 함께 다시 내가 물위를 걸었었다는 사실이야! 주님의 손을 잡고 배로 돌아오기까지 물위를 걸었던 그 순간의 기적 말이야. 왜 이것이 잘 기억이 나질 않았을까? 그건 말이야. 우선은 그 기적의 주체가 내가 아니고 주님이 하신 것이라는 생각 때문이었던 것 같아. 사실 그 때는 내가 한 일이 별로 없었거든. 나는 단지 주님의 손만 잡고 있었던 거야. 주님이 걸으시는 대로 내 발걸음도 물위를 걸어 나도 모르는 사이 배 위로 올라오게 된 거지. 그런데 그 거리는 내가 애쓰고 노력했던 첫번째 기적을 행한 그 거리와 똑같앴어. 그리고, 필요하다면 나는 주님과 함께 훨씬 더 긴 거리를 아무 장애도 없이 분명 더 걸을 수가 있었어.

마가야, 이제 이 두가지 기적의 근원적인 차이를 어느정도 깨달을 수 있겠니? 첫번째 기적 때는 내 의지로, 내가 주체가 되어, 주님을 내 기적의 도구로 사용한 거야. 바라봄의 법칙은 정말 좋은 것이지. 하지만, 내가 행위의 주체가 될 때 바라봄으로만은 한계가 있어. 결국 나는 내 자유의지로 이것도 택할 수 있고 저것도 택할 수 있지. 내 주위의 환경, 내 마음 속에서 일어나는 감정의 변화에 따라 굳건한 것처럼 보였던 나의 믿음은 교만과 의심이라는 장애 앞에 언젠가는 쓰러지게 된단다. 이미 내가 첫번째 기적에서 체험했던 것과 같아. 어쩌면 이것이 이 세상에서 우리가 살아갈 때 피할 수 없는 숙명적인 것인지도 몰라. 내 자유의지가 작용하고 유혹자가 호시탐탐 나를 노리는 한 말이야.

그러면 두번째 기적은 어떨까? 먼저 두번째 기적은 무엇으로 시작이 되었을까? 그것은 전적인 내 의지의 포기로 시작이 되었어. 내 노력과 스스로의 행위를 완전히 멈추고 주님께 항복하여 두 손을 벌릴 때였어. 다급한 내 외침(주님, 살려주세요) 속에는 처음에 내걸었던 어떤 형태의 가정법(주님이시라면..)도 없었단다. 물위를 걸어보겠다는 애초의 욕심 따위도 아예 없었지. 그냥 아무런 욕구와 조건이 없이 주님께 나를 던져버린 거야. 내 지정의(知情意)의 전체를 주님께 맡겼다고나 할까? 주님이 내 손을 잡아 일으키셨을 때, '나'는 사라지고 주님만이 홀로 행동의 주체가 되신 거야. 나는 주님의 손으로 이어지는 하나의 가지일 뿐이었어. 주님께서 말씀하신 포도나무와 가지 비유 기억나지? 바로 그거야. 그때서야 나는 포도나무이신 주님께만 온전히 붙어있는 가지가 된거야.

어쩌면 이것이야말로 진정한 바라봄의 법칙인지도 몰라. 아니, 바라봄의 법칙을 넘어선 일치의 법칙이라고 하면 어떨까? 내 모든 것을 주님과 일치시키는 거야. 주님께서도 "나와 아버지는 하나이니라"고 말씀하셨잖니? 일치의 법칙이란, 성부 하나님과 성자 하나님이 완전히 하나된 것처럼 나를 주님과 하나로 일치시키는 거야. 내 손이 주님의 손을 잡음으로, 또한 주님의 손이 내 손을 잡아 주심으로, 나는 포도나무이신 주님의 가지가 되는 거야. 두번째 기적으로 돌아가 볼까? 내가 주님의 손을 놓지만 않는다면 나는 언제까지나 물위를 걸을 수 있었겠지. 주님은 언제나 내 손을 붙잡고 계시거든. 나를 사랑하시고 목숨까지 주신 그 분이 어떤 순간에라도 내 손을 뿌리칠 리가 만무하지 않느냐? 정말 내 쪽만 문제 없다면 말이지. 그리고, 그것이 주님의 뜻이라면 말이야.

오늘도 얘기가 길어졌지? 이제 정리를 해보자꾸나. 첫번째 물위를 걷는 기적은 내 욕심과 조건으로부터의 출발이었어. 주님을 바라보았지만 세상의 파고는 내 바라봄보다 더 높아서 나는 실패할 수 밖에 없었어. 두번째 물위를 걷는 기적의 출발은 나를 포기함으로 비롯되었지. 주님의 손을 잡기위해, 아니 정확히 표현하자면 주님이 내 손을 잡아 주시기 위해, 나는 내가 움켜쥐고 있던 것들을 놓아야 했어. 그것이 욕심이든 교만이든 명예이든 상관이 없는거야. 주님과의 일치를 위해서는 먼저 나를 철저히 비워야 해. 왜냐하면 내가 먼저 비워진 연후에야 주님이 채우실 수 있기 때문이야. 그리곤 내 손을 주님께 벌려야겠지. 우리 주님은 비워지고 겸비한 나를 향해 늘 손을 내밀고 계신단다. 주님의 손과 내 손이 만나 서로 잡고 있을 때, 신비적 일치의 기적이 시작되는 거야. 바꾸어 말하면, '내'가 비워진 그곳에 '주님'으로 채워지는 거야. 바로 주님과 나의 하나됨, 일치의 법칙이야.

아들아!
너는 바라봄의 법칙을 넘어
일치의 법칙으로 나아가야 하느니라.
그러나 네가 해야 할 일은 별로 없단다.
주님께서 네 안에서
일치의 법칙을 운행하시도록
주님께 네 모든 것을 맡기려므나.
아들아, 사랑한다.

운영자

2009.06.03 17:35:21
*.108.165.110

이선우 집사님!
안 그래도 궁금하던 차에 반갑습니다. 대만 타이페이에서 푸랑크푸르트 지사로 옮기셨군요.
또 너무나 귀한 깨우침을 나눠주셨습니다.
다들 베드로가 주님만 볼 때는 물 위를 걸을 수 있었는데 풍랑을 보고는 빠졌다는 것은 잘 알고 있지만
처음 혼자 걸어갈 때의 기적과 예수님 손 잡고 돌아올 때의 기적이 서로 다름을 정확히 구분해야겠습니다.
제 집사람 왈, 새롭고도 성숙된 신앙의 관점을 아주 쉽게 설명해주셨다고 했습니다. 저도 절대 동감하며 적극 강추합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다윗이 골리앗을 이긴 진짜 이유” 중국어번역본이 준비되었습니다. master 2023-09-20 1002
공지 신입 회원 환영 인사 [1] master 2020-10-06 1441
공지 (공지) 비영리법인을 설립했습니다. master 2020-05-15 2623
공지 E-book File 의 목록 [3] master 2019-08-23 1842
공지 크레딧카드로 정기소액후원하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file master 2019-07-04 5863
공지 소액정기후원회원을 모집합니다. [18] master 2019-02-19 1890
공지 글을 올리려면 로그인 해주십시요/복사 전재하실 때의 원칙 [14] 운영자 2004-09-29 5943
730 (1)유다 대신에 맛디아를 뽑다(행1:12-14) 사랑그리고편지 2009-07-13 907
729 [사도행전]<1:9-11> 예수의 승천(2) 사랑그리고편지 2009-07-12 773
728 [사도행전1장]-예수의 승천(6-11) 사랑그리고편지 2009-07-12 1005
727 경계해야 될 것들 박정명 2009-07-08 817
726 [질문] 동성애와 사이코패스 복음 2009-06-26 847
725 [질문] 예정 [1] 복음 2009-06-25 792
724 [질문] 데라의 죽음에 대한 시점에 대하여 이선우 2009-06-24 911
723 저의 교회 개혁에 관한 입장입니다!(펌글이지만 절대 공감하기에...) 사랑그리고편지 2009-06-20 850
722 오직 새 포도즙은 반드시 새 부대에 사랑그리고편지 2009-06-15 872
721 성경질문)아담과 하와가 영원히 살 수 있었을까요? Sarah 2009-06-12 831
720 아브라함의 기도와 소돔성의 멸망 사랑그리고편지 2009-06-10 973
719 (질문) 목회자의 정치적 편향성 soo 2009-06-08 840
718 은혜가 무엇일까요? [3] 사랑그리고편지 2009-06-06 866
717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해방시켜 주셔서 자유하게 하셨습니다 [2] 사랑그리고편지 2009-06-03 838
716 [팔복 묵상] 비정상인이 누릴 수 있는 팔복 [2] 이선우 2009-06-02 891
715 [베드로 묵상] 나눔의 법칙 이선우 2009-06-02 909
» [베드로 묵상] 일치의 법칙 [1] 이선우 2009-06-02 896
713 유다의 편지(2)-어떤 침입자들 사랑그리고편지 2009-05-28 898
712 자살 권 세진 2009-05-27 1413
711 [re] 자살 [1] 운영자 2009-05-27 123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