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둠 속에서의 광합성

조회 수 283 추천 수 31 2013.11.12 17:25:36

해표면 8천피트 아래의 깊이에서 자라는 새로운 종류의 박테리아가 발견되었다. 이 발견은 태양광이 전혀 도달하지 않는 깊이에서 이 박테리아가 광합성을 통하여 생명을 유지한다는 사실로 인하여 참으로 주목할 만하다.

에머럴드 녹색의 이 생물체는 멕시코 태평양 연안에서 발견되었다. 이것은GSB1이라고 명명된 녹색 유황 박테리아이다. 이 생물체는 낮은 산소와 유황이 풍부한 환경에서 잘 자란다. 이 환경은 블랙 스모커스라고 알려진 심해 열수 분출구에서 발견되는 조건이다. 이 불출구들은 유황이 풍부하고 산소가 적은 화씨 750도까지 올라가는 뜨거운 물을 뿜어낸다. 뜨거운 스토브 버너가 소량의 빛을 발생하듯이 이 뜨거운 물 또한 소량의 가시적인 빛을 발생한다. 그 빛의 대부분은 적외선이여서 광합성에 사용될 수가 없다. 그러나 이 박테리아는 이 매우 희미한 발광으로 부터 광합성을 해낸다. 이것은 태양광이 없이 광합성을 해내는 유일한 생물체로 알려져 있다.

우리는 여전히 창조주의 무한한 창조성의 경이로움을 배우고 있는 중이다. 그러나, 그분의 가장 큰 경이는 당신의 독생자이신 예수 그리스도를 우리에게 보내셔서 죄와 죽음과 사탄으로 부터 우리를 구속하신 그분의 사랑이다.

Notes:
Science News, 6/25/05, pp. 405-406, N. Moreira, “Grow in the Dark.” Photo: Green sulfur bacteria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54 식물 수학 김 계환 2014-01-07 6088
553 인구와 지구의 나이 김 계환 2014-01-03 292
552 특별한 별 김 계환 2014-01-02 251
551 성경이 파이 값에서 실수를 했는가? 김 계환 2013-12-16 317
550 자연이 최고의 화학자이다 [1] 김 계환 2013-12-15 420
549 명주같이 부드러운 덫 김 계환 2013-12-13 245
548 화석화된 모자 [1] 김 계환 2013-12-03 1043
547 어네머니(anemone)들이 듣는 소리 김 계환 2013-12-03 49297
546 인간 친절함의 진짜 우유 김 계환 2013-11-27 258
545 진정한 순간 접착제 [2] 김 계환 2013-11-25 356
544 원숭이가 대학생만큼이나 지능적이라고? 김 계환 2013-11-22 2440
543 당신은 건강한 웃음이 필요하다 김 계환 2013-11-19 256
542 우리가 모르는 것 김 계환 2013-11-18 308
» 어둠 속에서의 광합성 김 계환 2013-11-12 283
540 삶아진 말벌 김 계환 2013-11-07 273
539 전기적인 노래부르기 와 다툼 김 계환 2013-11-06 257
538 일부 공룡들은 풀을 먹었었다! 김 계환 2013-11-02 223
537 유익한 벌꿀 안내자 김 계환 2013-10-28 339
536 스스로 청소하는 발 운영자 2013-10-26 228
535 물집 딱정벌레(blister beetle)의 자기방어 김 계환 2013-10-22 311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